자유로운 영혼

 

 

구인사

 

 대한불교천태종의 총본산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백자리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백자리 소백산록에 있다.

이 지역은 소백산 구봉팔문 중 제4봉인 수리봉 밑 해발 600여m의 고지에 위치해 있는데,

 풍수사상으로 제7 금계포란형이라고 한다.

1966년에 창건되었으나 천태종의 개조인 상월조사가 이곳에 자리를 잡은 것은 1946년이었다.

 

그가 초암을 짓고 수도하던 자리에 현재의 웅장한 사찰을 축조한 것이다.

 경내에는 초암이 있던 자리에 세워진 900평의 대법당, 135평의 목조강당인 광명당,

 사천왕문과 국내 최대의 청동사천왕상 등이 있다. 지금은 50여 동의 건물이 세워져 있는데,

 일시에 수용할 수 있는 인원이 5만 6,000명이며, 총공사비 122억 원이 소요된 국내 최대 규모의 사찰이다.

 

 

수리봉 정상에는 주요한 참배 대상이 되는 상월선사의 묘가 있는데, 이는 화장을 기본으로 하는 일반 불교에서는 볼 수 없는 일이다.

상월선사는 생전에 화장을 원치 않는다며 미리 이 묘자리를 잡아놓았다고 한다.

 이 절은 특히 치병에 영험이 있다고 하여 매일같이 수백 명의 신도들이 찾아와 관음기도를 드리는 곳으로 유명하다

 

 

 

 

 

 

 

 

 

소백산 일주문

일주문은 그 규모도 웅장하거니와 우리 고유의 전통 사찰 건축 양식에 따른 맞배공포기와 건물로서 현대적 공법을 통해
정교하면서도 고전적 균형미를 살려내 미래의 문화재로 손색이 없는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습니다.
일주문은 사찰경내와 바깥 세상을 경계 짓는 첫 관문입니다.

 

 

 

2층구조인 사천왕문

사천왕문은 구인사의 두번째 관문으로 산천왕상을 모셔 놓은 곳입니다.
사천왕상은 힘이 세기 때문에 사바에서 하늘을 떠받치고 있는데 동쪽에는 지국천왕,

서쪽에는 광목천왕, 남쪽에는 증장천왕, 북쪽에는 다문천왕이 있습니다.

이 사천왕들은 부처님의 정법을 수호하고 삿되고 악한 무리들을 물리치며

 사찰을 찾는 선 량한 불제자들을 보살펴 준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차츰 사라져가는 공중전화가 보입니다.

 

 

이곳을 창건한 상월원각 대조사는

 1911년 음력 11월 28일 강원도 삼척군 노곡면 상마읍리 봉촌마을에서 밀양 박씨 가문 밀성대군의

 후예로 태어나 속명은 준동(準東), 법명(法名)은 상월(上月),

 법호(法號)는 원각(圓覺)이라 불렸다.

 

 어려서부터 남다르게 출중했기에 15세가 되던 해 음력 3월 봄날에 출가를 결심하여

 수 년 동안 바랑을 메고 명산대찰의 선지식을 찾아 교학을 익혔다고 전해진다.

당시의 유명한 강백이나 선사들은 스님의 명석한 혜지와 뛰어난 선지에

 찬탄을 금치 못하였고,

 일본의 탄압이 더욱 심해지는 당시의 상황에서 강원도 태백산

 기슭 원효대사님이 수도하셨다는 석굴에 주석하게 된다.

솔잎과 쑥 등으로 연명하며 2년 동안 수행에 매진한 그는 1942년 가을,

지금의 구인사 연화지에서 관세음보살님이 미소를 지으며 서 있는 모습을 보게 된다.

 

 이후, 중국의 관음영지인 보타락가산과 천태종의 개창지인 천태산 참배를 위해 중국으로 건너가,

 수양제가 세운 국청사(國淸寺)를 찾아 큰스님들과 법담을 나누기도 하면서

 장차 관음신앙과 천태종지를 대한민국 내에 펴기 위해,

 다시 국내로 돌아와 소백산이 불연(佛緣) 깊은 곳이라는 옛 기록처럼 크고 작은 봉우리가 좌우로

늘어선 마치 연꽃 봉오리와도 같은 연화지를 다시 찾았고

 양지 바른 곳 초암을 얽어매며 석장을 내리니,

 그 곳이 석굴에서 수행 끝에 친견했던 관세음보살님이 서 계신 자리였다고 전해진다

 이곳은 오늘날 총본산 구인사 5층 법당이 세워진 자리이기도 하다.

 

우측으로 보이는 인광당

인광당은 불기 2531(1987)년 4월 낙성한 5층 건물로서 승려 및 신도의 교육을 위한 시설

 대강당, 신도 기도실 및 도서
실 등의 다용도 시설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인광당 옆 장문당실에는 감사원과 종의회 사무실이 들어서 있고 4,5층은 구인사를 방문한 귀빈들의 숙소로 쓰이고 있습니다.

 

구인사 총무원

구인사의 모든 업무가 이루어지는곳

 

 

 

 

 

 

 

 

 

 

 

삼보당 내부

 

 

삼보당은 구인사를 찾아온 신도님들이 큰스님을 뵙고 인사를 올리는 곳이기도 하며 종단 스님들이 모두 모여 큰스님을 모시고 회의나 스님안거를 주재하시는 곳이기도 합니다.

스님들의 안거는 겨울 신도안거가 끝난 후, 바로 이어서 시작되는데 그 기간동안 천태종 스님들은 삼보당에서 용맹정진을 하십니다.

삼보당 안에는 상월 원각 대조사님의 존상을 비롯하여 천태종 제2대 종정스님이신 남대충 스님의 진영(眞 影)이 모셔져 있어 신도님들이 역대 종정스님께서 남기신 큰 뜻을 마음깊이 새기는 자리이기도 합니다.

 

 

5층법당가는길에서 본 조사전방향

 

 

 

 

 

 

 

 

 

 

 

 

관음전은 대승불교의 수많은 불·보살 가운데 중생구제를 위한 대자대비의 원력으로 대중들에게 가장 친근한 관세음보
살을 모신 곳입니다.

사찰에 따라서 관음전을 원통전, 대비전, 보타전 등으로 부르기도 하는데,

 관세음보살과 더불어 그 협시로서 남순동자와
해상용왕을 모시며, 그 뒤에 천수천안관세음보살도 혹은 아미타 후불탱화를 봉안하기도 합니다.

구인사의 관음전에는 천수천안관세음보살과 협시로 남순동자와

 해상용왕이 후불탱화로 그려져 있으며, 지장단과 열시
왕 탱화가 모셔져 있습니다.

 

 

 

 

 

 

 

 

 

 

 대 조사전입니다.

조사전은 조사스님이나 사찰의 창건주, 역대 주지스님 등 해당사찰과 관련하여 후세에 존경받는 스님들의 영정이나 위
패를 모시는 곳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대조사전은 한국 천태종 중창조 상월원각대조사의 존상을 봉안하여 2000년 11월 5일 낙성되었습니다.

 

천태교학이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은 지자대사 당대로서 백제의 연광법사나 신라의 법융, 이응, 순영 스님등이 천태교학
을 배워서 왔으나, 한 종파로서 뿌리를 내리지 못하다가 AD1097년 고려 숙종 2년에 대각국사 의천 스님이 개성 국청사에
서 정식으로 천태종을 그 개립을 보게 되었던 것입니다

이 후 조선조에 이르러 천태종은 선종에 예속되어 그 종명을 잃은 채 500여년의 세월이 흐르게 되었고, 오늘날의 대한불
교 천태종 구인사는 1967년 상월원각대조사님에 의해 소백산 구인사에서 다시 주창되어 오늘에 이르게 된 것입니다.

 

                                                      이에 상월원각대조사께서 열반에 드신 뒤로 대조사님에 대한 종도들의 추모의 마음은 더욱 깊어졌으며,  종단은 천태종
                                                              중창조로서 종파불교의 새로운 전통을 구현하고 있는 대조사님의 무진 공덕을 영원히 기리기 위하여

                                                                                대조사전을건립하고   대조사님의 존상을 모시기로 하였던 것입니다.

 

 

 

 

 

상월원각대조사님 법어탑

 

 

 

 

 

 

 

 

 

 

상월원각대조님을 모신 조사전 옆에 세워진 교지문 입니다

 

 

 

 

 

 

 

 

 

 

 

 

 

 

 

 

 

 

 

 

 

 

 

 

범종각은 구도자를 환영하는 하늘의 음악소리를 상징하기 위해서 불이문(不二門:일주문)과 동일선상에 서 있는 것이며,
위치는 법당쪽에서 오른쪽에 위치하게 되는데, 불교의 체용설(體用說)에 입각하여 볼 때 왼쪽은 체(體)에, 오른 쪽은 용(
用)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소리가 곧 용(用)에 속하기 때문이며, 체는 곧 본질을 뜻하고 용은 그 작용을 의미한 것입니다.

즉 범종각에서 울려 나오는 소리는 곧 우리들 일심(一心)의 작용이요,
부처님의 위대한 작용을 상징화한 것으로 그 소리는 스스로를 맑히고 중생을 교화하는 크나큰 울림이라 할 수 있습니다.

천태종 구인사의 범종각에는 범종(梵鐘), 법고(法鼓), 목어(木漁), 운판(雲版) 등의 불전사물(佛前四物)이 배치되어
있다. 조석예불 때 법고, 운판, 목어, 범종의 순으로 쳐서 나는 그 소리는 불이문을 통과한 구도자의 법열(法悅)이 소리로
화하여, 구도자의 내면 세계가 사물을 빌어서 울려 퍼지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불교의식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여행사진♣ > 사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정산 미륵사  (0) 2015.09.26
선운사 도솔암  (0) 2015.09.20
합천 천불산 청량사  (0) 2015.07.02
대구 동화사  (0) 2015.06.08
전북 진안 마이산 탑사  (0) 2015.04.19